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업계획서
- 스타트업
- 스타트업투자
- 정책자금
- 스타트업자금
- 제로투원
- 제로투원뉴스레터
- 개인투자조합
- 뉴스레터
- 투자
- 창업지원
- 지원사업
- 스타트업뉴스레터
- 투자자
- 스타트업뉴스
- 예비창업자
- 제로투원파트너스
- 교육
- 창업
- 엔젤투자
- 스타트업지원
- 데모데이
- IR일정
- 스타트업소식
- IR컨설턴트
- ir
- 투자유치
- 연말정산
- 자금유치
- 데모데이일정
- Today
- Total
제로투원파트너스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7] 투자 기본부터 이해하기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투자 기본부터 이해하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그럼
이번 포스팅도 집중해주세요!
바로 가볼까요!
창업자와 투자자의 긴밀한 관계
창업자와 투자자는 서로 투자라는 같은 목적으로
교섭할 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닙니다.
창업자가 투자자에게 받고 싶은 멘토링이 무엇인지,
투자자가 창업자에게 해주고 싶은 조언과 지원의 내용이 무엇인지에
서로 이익이 되는 바람직한 관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Contact, 즉 창업자와 투자자가 서로 가까이 있어야 합니다.
사업 초기에는 주기적으로 서로 얼굴을 맞대고 만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지속적인 전화 통화로 보완해야 합니다.
투자하는 곳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기
투자를 할 때 가장 먼저 창업자한테 파악해야 합니다.
정말 창업자가 투자를 유치하는 데 진심으로 관심이 있는지를 느껴보며,
창업자에게 진정성이 없다면 함께하는 투자자는 혼란만 가져올 것입니다.
자금을 유치하는 바로 그 순간, 여정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투자자는 창업자가 내리는 많은 결정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며,
권리를 행사하려 하고, 창업자에게 물음표를 던질것입니다.
자금을 유치한 순간 유일한 '탈출'은 사업을 성공해 다른 회사가
더 큰 가치로 이를 사주는 것뿐입니다.
멀리해야 하는 엔젤투자자 유형
첫 번째로 자신의 것으로 뭐든지 만들려고 하는 엔젤투자자는 피해야 합니다.
엔젤투자자는 무언가를 주는 사람이지 취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두 번째로 창업자들에게 엔젤투자자들을 소개해주며 소개료를 받는 사람을 피해야 합니다.
이들 중 일부는 필요한 엔젤투자자들을 실제로 연결해 주지만
일반적으로는 자신의 이득을 취하려는 사람입니다.
엔젤투자자는 인터넷 검색을 열심히 하다 보면 엔젤투자자들을 물색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 발품을 팔아 적합한 엔젤투자자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창업자들은
엔젤투자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마지막으로 창업자가 행사해야 할 통제력과 지배력을 본인이 행사하려고 드는 사람도 피해야 합니다.
이들은 보통 창업자의 아이디어나 사업 행태에 관하여
거만한 자세로 바라보거나 뭐든지 비판적인 태도를 보입니다.
여기서 창업자가 휘둘린다면 남는 것은 잘못된 의사결정뿐입니다.
투자할 만한 스타트업의 특징
성장 여력
회사가 지속해서 성장하는 데 필요한 것을 갖춰야 합니다.
대부분의 스타트업이 이 첫 번째 성장 여력에서 힘들어합니다.
스타트업은 훌륭한 아이디어와 멋진 솔루션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창업자들은 '제품'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회사'에 관한 이야기는 하질 못합니다.
확장가능성
이것 역시 성장과 관련 있습니다.
확장성이 있는 스타트업은 보유하고 있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사업에 기술진보의 혜택을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생산성 증대의
한계를 모르는 수준으로 도약할 수 있습니다.
초반에 잘나가던 스타트업들도 지속가능하고 확장가능한
수익이 없어 실패합니다.
수익
매출과 성장에만 집중하고 수익을 무시하면 안 됩니다.
많은 스타트업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와 솔루션이 있지만
수익으로 연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부터 수익을 만들어 내는 수익구조와 사업모델을 가지고 운영을 해야 합니다.
이러한 구조를 운영하여 단기간에는 손해를 보더라도 일정 시점부터는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모델을 반드시 가져야 합니다.
스스로 돈을 벌지 못하면 핵심기술, 아이디어도 그냥 남들이 생각하는 아이디어일 뿐입니다.
훌륭한 기술이나 아이디어보다 수익을 낼 수 있는 사업 모델을 구축해야 합니다.
지속가능한
수익이 지속해서 창출되고 있어야 합니다.
투자자들은 높은 기술적 위험에 직면해 있을 수는 있으나
시장 위험에는 많이 노출되지 않은 회사를 선호합니다.
기술적 위험은 스타트업에게 상당한 비용의 부담을 주지만
시장 위험은 스타트업 사업 자체가 힘들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투자 기본부터 이해하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들께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고
다음 글도 기대해 주세요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30] 투자자가 원하는 피칭 (0) | 2022.10.28 |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8] 계약 체결 시 놓치지 말아야 할 것! (0) | 2022.10.14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6] 엔젤투자 현황 알아보기 (0) | 2022.09.30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5] 투자수익 회수하기 (0) | 2022.09.23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4] 투자 후 관리하기 (0) | 2022.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