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타트업소식
- 제로투원
- 스타트업뉴스레터
- 투자자
- 제로투원파트너스
- 지원사업
- 데모데이일정
- 데모데이
- 제로투원뉴스레터
- 교육
- 스타트업뉴스
- IR일정
- 연말정산
- 사업계획서
- 정책자금
- 투자유치
- 자금유치
- 개인투자조합
- ir
- 엔젤투자
- 스타트업지원
- 스타트업
- 스타트업투자
- 예비창업자
- IR컨설턴트
- 뉴스레터
- 창업지원
- 투자
- 창업
- 스타트업자금
- Today
- Total
제로투원파트너스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2] 투자 진행 하기 (1) 본문
안녕하세요 :)
오늘은
투자 진행하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그럼
이번 포스팅도 집중해주세요!
바로 가볼까요!
투자 진행 하기
엔젤투자와 벤처캐피털 중 엔젤투자는 개인이 결정하고 추진한다는 점에서 덜 체계적입니다.
평균적으로 엔젤투자의 진행방법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기업 발굴 단계부터
대상 기업에 대한 각종 평가, 그리고 기업의 현장실사와 계약체결,
투자 후 경영지원 활동과 투자금 회수 순으로 진행됩니다.
사업계획서 검토
투자자가 투자를 진행하기에 앞서 먼저 투자하고 싶은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계획서를 평가합니다.
사업을 구성하고, 기획하기 위해서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또한, 기업의 구체적인 사업 추진 내용과 성장 방향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사업계획서를 보면 창업 초기기업이 해당 사업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지,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는지,
시장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는지, 이익을 낼 수 있는지 등 다양한 방면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투자기업 평가
투자자는 기업의 가치평가를 통해 투자를 결정하므로
대상 기업의 경영지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 방법으로는 재무수치를 기반으로 하는 정량적 분석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창업기업은 각각의 특성에 맞춰 다른 경영활동을 하므로
같은 평가기준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정량적 분석
재무제표는 창업 초기기업의 활동을 보여 주는 경영지표입니다.
투자 대상 기업이 어느 정도 성장할지, 이익을 낼 수 있는지 등을
제대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재무제표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정성적 분석
계량화된 재무제표만으로는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창업 초기기업들은 그 역사가 얼마 되지 않아 실적 위주의 경영지표만으로는 역부족합니다.
정성적 분석에는 경영진의 평판과 능력, 자질이 너무 중요한 요소이며 기술이나
지분구조 등도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지분구조 평가
주주의 지분구조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주주구성은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핵심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 이상적인 지분구조 -
기업은 성장하면서 증자는 불가피합니다.
경영권 확보에 있어 CEO의 지분은 70%일 경우 문제가 없으며,
사업을 추진하는 데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핵심 임직원에게도 일정한 지분이 있으면 회사에 대한 애사심과 동기부여가 생깁니다.
중요한 거래처에 5% 지분을 배정하여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창업 초기에는 불특정 다수에게 투자자금이 주주로 되는 것은 피해야 합니다.
- 문제 가능성이 높은 지분구조 -
대표적으로는 대표이사 지분이 100%인 경우가 있습니다.
대부분 일인 기업이기 때문에 경영상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소액주주가 너무 많은 경우도 있습니다.
주주로 관리하는 데 큰 비용이 들어갑니다.
또한, 창업 초기에 개인투자자가 많으면 기업가치 평가에 부정적입니다.
자금조달 능력
기업회계 투명성은 외부회계 감사 여부에 직결됩니다.
대부분 초기기업은 기장사무소에 회계업무를 위탁하여 처리하지만
매출이 증가하고 회사규모가 성장하면서 외부 회계법인으로부터 감사를 받게 됩니다.
이런 상황이면 회계처리가 투명해지며 경영진은 회계감사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노사분규 발생 여부도 중요합니다.
노사가 화합하지 않으면 우량기업으로 성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경영진의 노사관계 정립에 관한 관심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투자 진행 하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고
다음 글도 기대해 주세요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4] 투자 후 관리하기 (0) | 2022.09.16 |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3] 투자 진행 하기 (2) (1) | 2022.09.09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1] 투자 기업 발굴 방법 (0) | 2022.08.26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20] 특허의 필요성! (2) (0) | 2022.08.19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19] 특허의 필요성! (1)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