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정책자금
- 스타트업뉴스레터
- 제로투원
- 스타트업
- 스타트업자금
- 스타트업투자
- 자금유치
- IR컨설턴트
- 예비창업자
- 데모데이일정
- 투자자
- 사업계획서
- 데모데이
- 창업
- 스타트업뉴스
- 투자유치
- 뉴스레터
- ir
- IR일정
- 제로투원파트너스
- 스타트업지원
- 창업지원
- 교육
- 지원사업
- 개인투자조합
- 제로투원뉴스레터
- 연말정산
- 투자
- 스타트업소식
- 엔젤투자
- Today
- Total
제로투원파트너스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9] 창업자본 유형에 대해 알아보자!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창업자본 유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스타트업 종사자나 예비창업자분들께서 필수로
알아두어야 할 것들이니 지금부터 같이 알아보아요!
지원자금
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의 제품화 과정에 소요되는 자금 일부 또는 전부를 무상으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기업이나 예비창업자가 직접적으로 자금을 운영하는 형태가 아니라
주관기관이 위착하여 집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통상 신청 이후 1~2개월의 선정 작업이 소요됩니다.
지원대상으로는 (예비)창업자 또는 창업 후 일정 기간 이내의 창업자입니다.
출연자금
정부에서 개발비의 일정액을 부담하고 향후 사업이 전개될 때 기술료를 징수하는 방법입니다.
창업기업 및 중소기업의 초기 기술개발에 필요한 개발자금을 최고 90%까지 출연하여 지원하는 자금입니다.
주로 중소기업청이나 미래창조과학부 등 정부기관이 시행하고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이 주관합니다.
과제 종료 후, 중소기업의 경우 지원받은 출연자금의 10% 정도를 3년 이내에 기술료 명복으로 납부해야 합니다.
지원대상으로는 (예비)창업자 및 중소기업입니다.
융자자금
정부의 산업발전시책에 맞추어 해당과제를 선정하여 공고하고
그 과제에 선정된 사업자에게 시설자금과 운전자금을 저리로 대출해주는 형태를 말합니다.
담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업으로서는 부담이 됩니다.
기술력이 우수하고 사업성이 있는 기업은 기술신용보증기금이나 신용보증기금을 통해 보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으로는 (예비) 창업자 및 중소기업 (소기업 및 소상공인 포함)입니다.
투자자금
개인, 법인 및 기관 등으로부터 대개는 법인의 주식을 대가로 조달하는 자금입니다.
대표적인 투자 주체로는 개인 엔젤투자, 벤처 캐피털, 금융기관, 투자희망기업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3년 이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모태펀드 출자나 엔젤투자 형태로 투자활동 및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투자연계 멘토링 과제 등이 활성화되어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원대상으로는 창업자 및 창업 후 7년 이내의 중소기업입니다.
오늘은
창업자금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고
다음 글도 기대해 주세요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11] 투자 언제 받을까? 투자의 타이밍 (0) | 2022.06.10 |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10] 좋은 투자자 알아보는 법! (0) | 2022.05.27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8] 스타트업 투자유치 형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4.14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7] 모험자본이란? (0) | 2022.04.12 |
[스타트업 투자 시리즈 6] 투자자 분석으로 투자유치하자! 2 (0) |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