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타트업자금
- 데모데이
- 연말정산
- 지원사업
- 스타트업
- 창업
- 자금유치
- 스타트업뉴스레터
- 제로투원
- 스타트업소식
- IR컨설턴트
- 예비창업자
- 엔젤투자
- 교육
- 투자유치
- 데모데이일정
- 제로투원파트너스
- 투자자
- 개인투자조합
- 스타트업투자
- 투자
- 창업지원
- 스타트업뉴스
- 정책자금
- 뉴스레터
- 스타트업지원
- ir
- IR일정
- 사업계획서
- 제로투원뉴스레터
- Today
- Total
제로투원파트너스
[스타트업 운영 가이드 시리즈 11] 스타트업 자금 계획 세우기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타트업 자금 계획 세우기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오늘의 포스팅도 집중해주세요 :~)
스타트업 자금 확보 방법
스타트업이 자금을 확보하는 방법은 5가지로 나뉩니다.
자체 서비스 매출, 외주 사업 매출, 투자 유치, 정부지원사업 유치, 기타 부수입이다.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에게 시드머니를 투자하는
VC와 액셀러레이터의 지원과
스타트업 초기에는 제대로 된 제품도 없는
초기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초기 단계에선 헝그리하게 출발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초기 단계엔 정부의 창업 지원 사업이 중요합니다!
사업 운영비를 최소화시켜 유지하면서 될 수 있는 대로 정부 창업 지원을 받습니다.
조급할 필요 없다
헝그리한 시기를 거쳐 제품을 출시하고 나면 그때부터는
자체 서비스로 매출을 내서 운영비를 충당합니다.
대부분의 스타트업에게 제품 출시는 그냥 초기에 거쳐 가는 한 단계일 뿐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자금 계획을 세우고 충실히 따르지 않는다면,
초기 자금이 바닥을 보이기 시작할 것입니다.
다시 자금을 확보하려면 프리시리즈 A, 시리즈 A 규모의 투자를 받는 방법과
가지고 있는 기술력을 활용해 외주를 병행하며 운영자금을 확보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지속 가능한 매출 구조를 만들었거나,
매출이 없더라도 단기간에 대규모 사용자를 모으며 급성장하는 곳에 투자합니다.
투자 유치와 성공
투자 유치와 성공 사이에는 까마득히 먼 거리가 존재합니다.
창업자는 투자를 받으면 더 열심히 일해야 합니다.
투자를 받는다는 것은 회사 지분을 팔아서 다른 사람
돈을 빌리는 의미이고, 투자금은 차후 몇 배로 되갚아야 합니다.
이러하여 투자를 안 받고 사업을 빠르게 성장시킬 수 있다면
당연히 안 받는 게 좋습니다.
사업을 하려면 돈이 필요하고, 대부분은 자금력이 받쳐주지 않으면
성장 속도가 더딜 수밖에 없습니다.
나가는 상황이면 매우 위험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투자 유치 단계
스타트업 투자 유치는 일종의 단계가 나뉘어 있습니다.
초기 제품 제작 및 출시 전후까지 쓸 운영 예산으로 받는 투자금 시드머니가 있습니다.
시드머니로 열심히 활동하여 성장 가능성을 증명한다면
프리시리즈 A, B 등 몇 차례의 투자 라운드를 거치며
성공까지 가는 단계별 자금을 확보하는 게 스타트업 투자 유치 전략입니다.
각 단계를 거듭할수록 기업 가치가 상승하며,
그만큼 투자 규모도 커집니다.
오늘은 스타트업 자금 계획 세우기에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 글에서 봬요 :)
'스타트업 운영 가이드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운영 가이드 시리즈 13] 스타트업 컴퍼니 빌딩 (0) | 2023.01.11 |
---|---|
[스타트업 운영 가이드 시리즈 12] 스타트업의 지식재산법 (0) | 2023.01.04 |
[스타트업 운영 가이드 시리즈 10] 스타트업 팀 빌딩 (0) | 2022.12.07 |
[스타트업 운영 가이드 시리즈 8] 스타트업 준비하기(1) (0) | 2022.11.30 |
[스타트업 운영 가이드 시리즈 7] 스타트업 투자유치 (0) | 2022.11.22 |